성장의 비밀은 탐구의 문에서

[미술사의 다른이야기:인물탐구] 구스타브 클림트: 아르누보, 상징주의, 빈분리파 본문

미술사의 다른이야기

[미술사의 다른이야기:인물탐구] 구스타브 클림트: 아르누보, 상징주의, 빈분리파

데리만주 2024. 2. 12. 21:11
 

 

구스타브 클림트(Gustav Klimt) 

클림트는 오스트리아의 상징주의 화가이자 빈 분리파 운동의 주요 회원이었다. 그는 회화, 벽화, 스케치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, 작품의 주요 주제는 여성의 신체로, 그의 작품은 노골적인 에로티시즘으로 유명하다.

아델레 블로흐-바우어의 초상(1907), 노이에 갤러리

출생 배경과 환경

클림트는 1862년 7월 14일 오스트리아의 바움가르텐에서 태어난다. 그의 아버지는 체코계의 금장사이고, 어머니는 뮤지컬 배우였다. 클림트는 7명의 형제 자매 중 둘째였으며, 그 중 4명이 예술가가 되었다고 한다. 클림트는 14세 때 빈 응용예술대학교에 입학하여 장식 화가로서 교육을 받았고, 그는 남동생 에른스트 클림트와 친구 프란츠 마치와 함께 미술가 그룹을 결성하여 링슈트라세 개발기에 장식 화가로서 작품활동을 시작하게 된다.

Judith(1901), 오스트리아 미술관

빈 분리파와 상징주의

1897년, 클림트는 빈 예술가 협회를 탈퇴하고, 빈 분리파를 결성한다. 빈 분리파는 반 아카데미즘 운동으로, 전통적인 미술과 거리를 두고, 현대적이고 개인적인 표현을 추구하였다. 클림트는 빈 분리파의 첫 번째 전시회에서 그의 대표작인 '키스’를 선보였고 이 작품은 금박과 색채로 장식된 두 연인의 모습을 그린 클림트의 상징주의적인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. 클림트는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아, 심리적이고 은유적인 요소를 작품에 담았습니다. 그는 여성의 신체와 성을 주제로 한 많은 작품을 그렸으며, 그의 작품은 당시 사회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.

키스(1908), 벨베데레 미술관

 

클림트는 빈 분리파의 초대 회장으로서, 빈 분리파의 미술관 건축과 전시회 개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. 빈 분리파의 전시회 포스터를 직접 디자인하고, 빈 분리파의 잡지인 '베르 사크롬’에 그림과 글을 기고하였다. 클림트는 각 시대에는 그에 맞는 예술이 필요하다고 여겼으며, 다양한 예술 장르와 국제적인 미술 교류를 지원했다. 클림트는 빈 분리파의 활동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자유와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.

생명의나무(1912), 스토클레 궁전

 

대표 작품

클림트는 살아 있는 동안 약 250점의 유화와 3,000점 이상의 드로잉을 남겼습니다. 그의 대표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.

  • 유디트(1901): 이 작품은 성경의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. 유디트는 자신의 민족을 구하기 위해 적군의 장군 홀로페르네스를 유혹하고 살해한 여성입니다. 클림트는 유디트의 얼굴에 만족과 황홀함을 담아내었으며, 그녀의 목걸이는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상징합니다. 이 작품은 클림트의 여성상을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.
  • 아델레 블로흐-바우어의 초상(1907): 이 작품은 오스트리아의 부유한 유대인 가문의 딸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아델레 블로흐-바우어의 초상화입니다. 클림트는 그녀의 얼굴과 손을 제외하고 모든 부분을 금박과 복잡한 문양으로 장식했습니다. 이 작품은 클림트의 '황금 시대’를 대표하는 작품으로, 그의 가장 유명하고 비싼 작품 중 하나입니다.
  • 생명의 나무(1912): 이 작품은 클림트가 빈의 스토크렛 궁전을 장식하기 위해 그린 벽화 중 하나입니다. 이 작품은 나무의 형태를 한 인간의 모습을 그렸으며, 나무의 줄기는 두 여성의 입술을 향하고 있습니다. 이 작품은 생명의 기원과 성의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.
  • 키스(1908): 이 작품은 클림트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, 두 연인이 금박과 색채로 장식된 의복을 입고 서로를 안고 있는 모습을 그렸습니다. 이 작품은 비엔나 아르누보의 상징이 되었으며, 클림트의 상징주의적인 스타일을 보여줍니다. 클림트는 이 작품의 영감을 자연형태, 특히 식물과 꽃의 곡선에서 받았다고 말했습니다. 클림트의 '황금 시대’의 대표작 중 하나로, 그의 예술적 자유와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었던 빈 분리파의 활동을 반영합니다. 이 작품은 현재 비엔나의 벨베데레 궁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.